문제 설명
다트 게임
카카오톡에 뜬 네 번째 별! 심심할 땐? 카카오톡 게임별~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 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 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제
예제dartResultanswer설명1 | 1S2D*3T | 37 | 11 * 2 + 22 * 2 + 33 |
2 | 1D2S#10S | 9 | 12 + 21 * (-1) + 101 |
3 | 1D2S0T | 3 | 12 + 21 + 03 |
4 | 1S*2T*3S | 23 | 11 * 2 * 2 + 23 * 2 + 31 |
5 | 1D#2S*3S | 5 | 12 * (-1) * 2 + 21 * 2 + 31 |
6 | 1T2D3D# | -4 | 13 + 22 + 32 * (-1) |
7 | 1D2S3T* | 59 | 12 + 21 * 2 + 33 * 2 |
<문제접근>
- 로직에 맞는 코딩 구현
- 다트게임 -> 총 3번의 기회
- 0~10점
- 당첨시 0~10점^1, 0~10점^2, 0~10점^3 그리고 S, D, T 영역존재
- *당첨시 +2(해당점수 + 해당점수 전 점수) 리턴
- #당첨시 -해당점수 리턴
- *는 첫번째에서도 나올수 있는데 그때는 2(해당점수) 리턴
- *효과는 다른스타상과 효과 중첩가능 예를들어 **라면 +4(해당점수 + 해당점수 전 점수) 이런식으로
- *효과는 #와 중첩될수 있음. 이경우 중첩 #의 점수는 -2배
- S,D,T는 점수마다 존재
- 사실상S가 ^1 이고 D라면 ^2 T라면 ^3 라는 뜻
- *, #는 점수나온거에 둘중 하나만 존재할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수도 있다
- 1S2D*3T => 2* 1^1 + 2 * 2^2 + 3^3
- 1D2S#10S => 1^2 - 1 * 2^1 + 10^1
- 1D2S0T => 1^1 + 2^1 + 0^3
- 1S*2T*3S => 2 * 1^1 + 2 * 1^1 + 2*2^3 + 3^1
- 1D#2S*3S => (-1) * 1^2 + 2 * 1^2 + 2 * 2^1 + 3^1
<문제 접근>
1. 우선 string 하나하나 접근해주는 방법과 정규식표현을 쓰는 방법 두가지가 있었지만 익숙한 for loop로 하나하나 접근해주는 방법을 택했다.
2. 그리고 숫자정보를 따로 저장해주고 1~9까지는 괜찮지만 10숫자도 들어가기 때문에 만약 1다음에 바로 0이 나오는경우가 생긴다면 10을 넣어주는 방법을 택했다.
3. 나머지 특수문자 또는 알파벳 S,D,T가 나올경우를 일일이 조건 달아주는 방법이 오래걸릴수는 있지만 가독성이 좋다고 생각하여 채택을 하기로 하였다.
먼저 dartResult의 길이만큼 loop를 돌면서 해당 인덱스가 0에서 9사이이면 그 값을 그대로 score이라는 변수명에 차곡차곡 쌓아주기로 하고 1이였을경우에 다음 인덱스 번호가 0일경우는 따로 score에 10이라는 값으로 넣어주고 i++로 다음 인덱스로 넘어가주는 식으로 처리를 하였다.
dartResult의 인덱스에서 S를 발견하면 logic이라는 빈 리스트 변수명안에 score 값을 그대로 반환해주고 D가 나온다면 해당인덱스안에 들어있던 score의 ^2를 붙여주고 T일때는 ^3 그리고 #이 나올경우는 logic 리스트안에서 #바로 왼쪽의 숫자에 -1을 곱해서 넣어주기로 했고 *이 나온경우는 *바로 왼쪽숫자에 2배를 곱해주고 왼쪽왼쪽 숫자에 또한 2배를 곱해주는 역할을 실행해주었다. 그렇게 정리된 숫자들이 logic에 쌓이면 for loop를 따로 돌려줘서 logic에 들어간 숫자를 다 리스트형태이기에 숫자로 바꿔주고 answer라는 변수명에 다 더해줘서 리턴을 해주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탐욕법" (0) | 2022.07.20 |
---|---|
알고리즘(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폰켓몬" (0) | 2022.07.20 |
알고리즘(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k번째수" (0) | 2022.07.19 |
알고리즘(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음양 더하기" (0) | 2022.07.19 |
알고리즘(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없는 숫자 더하기" (0)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