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알고리즘(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탐욕법"

changy0ng 2022. 7. 20. 17:33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nlostreservereturn
5 [2, 4] [1, 3, 5] 5
5 [2, 4] [3] 4
3 [3] [1] 2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제 #2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출처

※ 공지 - 2019년 2월 18일 지문이 리뉴얼되었습니다.
※ 공지 - 2019년 2월 27일, 28일 테스트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
※ 공지 - 2021년 7월 28일 테스트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
※ 공지 - 2021년 8월 30일 테스트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

 

<문제 접근>

우선 고려해야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1. 학생들에게 번호 매겨짐(바로 앞번호의 학생 or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빌려주기 가능)
2.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듣기
3. 전체학생수 :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 담긴 배열 : lost, 여벌체육복을 가져온 학생 번호 배열 : reserve
4. 수업 들을 수 있는 최대 숫자 학생 : max_student
5. 이렇게 되면 reserve의 학생숫자가 lost의 학생숫자보다 많으면 사실상 n을 return 해주면되고
6. 반대로 reserve의 학생숫자보다 lost 학생숫자가 많으면 reserve.length - lost.length를 n에서 빼주면됨
7. 하지만 조건이 있어야함 reserve[i]가 lost[i]보다 1이 작거나 클때(대신 0이아님)

8. 일단 무엇을써야할까? map이나 filter? 일단 array에 변화를 주는것이 아니라 초반에는 map말고 filter

 

 우선 각 array가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도 있기에 sort((a,b) => a-b) 함수로 오름차순 정렬을 합니다. 

그리고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즉 체육복을 가지고 있는 학생의 수를 return 해줘야하는데 losted를 기준으로 filter를 진행할수도 있고 reserved를 기준으로 filter를 진행할수도 있지만 저는 losted를 기준으로 필터를 진행했습니다. final_lost의 벼수에서 losted에서 x라는 변수로 하나하나 밑에 condition들에 의해 filter를 진행해줍니다. 우선 give 즉 체육복을 주는 array의 학생을 찾기 위해 reserved array에서 find로 reserved - x즉 reserved[i]가 losted[i]를 하나하나 비교해서 서로 빼줄때 절댓값이 1만 남는 수를 찾아서 give라는 변수에 넣어줍니다. 

 

그리고 절댓값이 1로 남지 않은경우는 체육복을 줄수없는경우기에 위에서 losted즉 x를 그대로 리턴해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losted 인덱스 돌면서 reserved는 새로 filter작업으로 reserved와 give가 일치하지 않을때 array로 바꿔줍니다 즉 이미 빌려준 사람은 제외하기 위해서입니다.

 

마지막으로 조건에 해당했던 사람들을 제외하고 남은 lost수가 있다면 그것을 max_student에서 그 값을 빼고 나온값을 그대로 반환해줍니다.

결과는 80점이 나왔고 처음 sort작업에서 서로 lost와 reserve가 값이 똑같은경우도 있을수 있다고 생각하여 처음 losted와 reserved값 또한 filter로 같지않은경우만 가져오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야 결과 값이 잘 나오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