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알고리즘(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k번째수"

changy0ng 2022. 7. 19. 16:50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arraycommandsreturn
[1, 5, 2, 6, 3, 7, 4] [[2, 5, 3], [4, 4, 1], [1, 7, 3]] [5, 6, 3]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출처

 

Northern Eurasia Contests

 

neerc.ifmo.ru

<문제 접근>

우선 이 문제를 접근하였을때 한번 더 클래식하게 접근해보는 건 어떨까 싶었다. 하나씩 촘촘하게 결과가 나오게 하고 싶어서 굳이 for loop를 두번 썼다가는 효율성이 안좋을것같아서 최대한 한 line에 함축적으로 다 담고싶었다.

내가 채택한방법은 빈 array안에 commands가 돌아갈때마다 해당안에 index값에 해당하는 조건들을 array마다 실행시켜주고 그 값을 다시 빈 array안에 담고싶었다.

 

그리하여 먼저 채택한 방법은 answer[i]번째 슬롯마다 해당하는 commands의 i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구간을 slice를 통해 자르고 그것을 정렬하며 commands의 index값의 k번째 즉 3번째값이라면 거기에 -1을 해줘야 index에서는 0,1,2 순으로 해주기 때문에 slice 첫구간과 마지막에 가져오는 값 부분에 모두 -1을 해줬다. 

 

 

하지만 결과값을 돌려보니 정확도가 85.7%가 나왔는데 생각해보니 sort()함수가 숫자인경우에는 sort(a,b => a-b)를 꼭 붙여줘야한다는 것을 알수있었다.